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4-05-16 21:20:37
기사수정


▲ 부산시는 16일부터 무질서한 무단방치로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개인형 이동 장치`에 대한 견인 조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이날 밝혔다.


뉴스부산=부산시는 16일부터 무분별한 불법 주·정차로 인한 보행 불편과 무질서한 무단방치로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개인형 이동 장치'(PM : Personal Mobility)에 대한 견인 조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이날 밝혔다.


PM은 「도로교통법」제2조(정의) 제19의2,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제2조의3(개인형 이동 장치의 기준)에 따라 전동킥보드, 전동 이륜 평행차, 전동기의 동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자전거를 뜻한다.


최근, 신개념 이동 수단인 PM은 신속성·경제성·친환경성이라는 장점으로 젊은 세대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는 반면, 무분별한 불법 주·정차 등으로 보행 불편과 교통사고 위험을 초래하고, 도시 내 무질서한 무단방치로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등 각종 사회적 문제를 야기해왔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지난 2월 의원 입법 발의를 통해 「부산광역시 개인형 이동 장치 이용 안전증진 조례」를 개정해 견인 근거를 마련하고, 16일부터 견인에 들어간다.


주요 단속 대상은 교차로, 횡단보도, 건널목, 버스 정류소, 어린이 보호구역,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보도 등 도로교통법 제32조, 제33조, 제34조를 위반한 무단 방치 개인형 이동 장치(PM)다.


무단 방치로 민원 신고가 접수되면, PM 대여업체에 자진 수거 이동 명령이 내려지고, 1시간 내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강제수거, 견인이 된다. 견인료와 보관료는 대여업체에 청구된다.


부산시는 지난 5월 7일, 견인 시행 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 방지를 위해 '견인구역, 견인대상, 견인 및 수거 방법' 등이 담긴 지침을 마련하고, 16개 구·군에 전파했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시경찰청, 시교육청, 지역 대학교, 도로교통공단 등 16개 기관과 운행 속도 준수, 안전모 착용, 무면허 운전 금지 등 안전하고 편리한 PM 이용 환경조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권기혁 시 교통정책과장은 “이용자는 보행자를 배려해 '개인형 이동 장치(PM)'를 이용하고, 대여업체는 자체 수거를 통해 올바른 이용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www.newsbusan.com


0
기사수정
저작권자 ⓒ뉴스부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서화디자인
최근 1달, 많이 본 기사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