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11-22 02:19:49
기사수정

[뉴스부산] 건설근로자공제회가 19일 발표한 '2020 건설근로자 종합생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건설근로자의 1인 평균 일당 16만7900원, 평균 경력은 13.7년, 구직 경로는 '인맥'(84.7%) 등으로 나타났다고 이날 고용노동부가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최근 1년 이내에 퇴직공제제도에 가입 이력이 있는 건설근로자 1,222명을 대상으로 고용상황, 근로조건, 근로복지, 가족생활 등 건설근로자의 생활 전반을 조사한 결과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조사에 전자카드의 활용, 노후준비 상태와 관련된 문항, 그리고 기능인력의 임금함수 추정 결과가 추가되어, 건설근로자의 고용·복지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뉴스부산] 건설근로자공제회가 19일 발표한 `2020 건설근로자 종합생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건설근로자의 ▲1인 평균 일당 16만7900원, ▲평균 경력은 13.7년, ▲구직 경로는 `인맥`(84.7%) 등으로 나타났다고 이날 고용노동부가 밝혔다.



▶ '고용현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건설현장 평균 진입연령은 36.6세, 평균 경력은 13.7년이며 구직경로는 ‘인맥’(84.7%), ‘유료직업소개소’(6.8%) 순, 직업능력 수준은 ‘기능공’(35.6%), ‘일반공’(24.1%)순이며, 응답자의 82.6%가 ‘건설 산업 외 근무한 사실이 있다’고 응답했다.


▶ '현장근로실태'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월 평균 근로일수는 동절기 16.1일, 춘추·하절기 20.2일로 조사됐다. 평균 일당은 167,900원으로 지난 2018년의 165,290원에 비해 2,610원 상승했고, 최근 1년간 평균 임금소득도 34,781,221원으로 2018년 34,298,566원에 비해 482,655원 상승했다. 경력과 임금사이의 상관관계 추정 결과, ‘형틀목공’의 경우 경력에 따라 임금이 상승(경력 1년 상승 시, 임금 1.1% 증가)했지만, ‘보통인부’의 경우 통계적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위생 및 편의시설 현황 및 만족도' 항목에서는 편의시설별 보유율은 ‘화장실’이 97.5%로 가장 높은 것으로, ‘샤워실’의 보유율은 66.4%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화장실’의 경우 보유율은 높지만 만족도는 편의시설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 '전자카드제 적용 현장 근로경험'의 경우 올해 처음 조사되었는데, ‘있다’는 응답이 17.7%로 나타났으며,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카드지참에 따른 불편함(22.7%)’과 ‘카드 인식을 위한 대기시간 소요(18.5%)라는 응답이 많았다.


▶ '건설근로자의 일과 및 휴식 실태' 중 건설근로자의 하루 일과는 2018년에 비해 출근은 6분 빨라지고 퇴근은 22분 늦어졌으며 휴식시간은 유사했다. 결론적으로 근로시간이 약 30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일요일 근무현황'은 ‘휴식을 위해 일부러 근무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0대’와 ‘3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젊은 층이 휴식 및 여가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현장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서 일요일 주휴수당 지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희망하는 복지서비스'는 ‘퇴직공제금 인상’이 67.7%로 가장 높았고, 취업알선(34.0%), 건강검진(29.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 '직업에 대한 만족도'는 3.16점으로 2018년에 비해 0.21점 상승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작업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보여 젊은 층의 만족도를 높이려면 교육훈련을 통한 숙련도 향상 촉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향후 근로계획에 대해서'는 ‘체력이 닿는 한 계속하고 싶다’가 5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연령이 높을수록 ‘계속 일하겠다’는 응답이 많고,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다른 일로 전향 하겠다‘는 응답이 많아, 고령화 가속화가 우려되므로 젊은 층의 진입과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직업전망의 제시가 시급하다.


▶ '노후준비 여부'에 대해서 ‘하고 있다’는 응답은 43.6%로 절반 이하로 조사됐다.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보면 ‘여력·능력이 없어서’가 80.6%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제도적 노후대책인 퇴직공제제도의 내실화 필요성을 시사한다.


▶ '노후준비를 위한 국가 정책'에 대해서는 ‘은퇴 이후 일자리 확대 정책’이 59.8%로 가장 필요하다고 대답했고 다음으로 ‘퇴직공제제도 적용범위 확대 및 일액증가’가 44.8%로 높게 나타났다.


뉴스부산 http://www.newsbusan.com

0
기사수정
저작권자 ⓒ뉴스부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서화디자인
최근 1달간, 많이 본 기사더보기
2024 부산 스텝업(STEPUP) 댄스 페스티벌, 7월 4~7일 개최 행정안전부, 정부24 민원발급 서비스 오류발급 및 후속조치 농식품부, 식품·외식업계 간담회 "물가안정 협조 요청" 자살예방 SNS 상담 브랜드 네이밍 공모전(5.3.~5.2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google-site-verification: googleedc899da2de9315d.html